2009년 05월 29일
시조새는 어떻게 분류할까?

시조새의 분류와 관련한 玉蔚亞育護님의 질문이 있어 역시 짤막하게 포스팅으로 대신합니다. 사실 시조새와 공룡의 관계는 예전 포스팅 - 시조새는 공룡일까? 새일까? - 에 다뤘던 적이 있습니다. 이를 참고하셔도 됩니다.


(Eumaniraptor의 분기도 - Thomas Holtz Jr. 2006)
시조새는 분명히 Maniraptora의 Avialae 분기군에 포함됩니다. 즉, 마니랍토라 공룡으로부터 분기된 녀석입니다. 그리고 외형적으로는 새보다는 마니랍토라 공룡에 가까운 모습입니다. 특히, Deinonychosauria와 근연관계로 트로오돈티드나 드로마이오사우리드와 아주 가까우리라 생각됩니다. 이런 분기도만 놓고 본다면 분명히 시조새는 마니랍토라입니다. 그러나 전통적인 분류는 다릅니다. 전통적인 분류상 새는 새이고, 파충류는 파충류입니다. 그리고 시조새는 말 그대로 '새'입니다. 그렇기에 공룡의 분류와 다릅니다.
Kingdom Animalia (동물계)
Phylum Chordata (척삭동물문)
Subphylum Vertebrata (척추동물아문)
Class Aves (조강)
Subclass Archaeornithes (고조아강)
Order Archaeopterygiformes (시조새형목)
Family Archaeopterygidae (시조새과)
Genus Archaeopteryx
Species Archaeopteryx lithographica Meyer, 1861
분류를 보면 아시겠지만, 분명히 조강에 포함됩니다. 그리고 현생 조류와는 다른 아강인 고조아강에 포함됩니다. 시조새와 달리 현생 조류는 모두 신조아강(Subclass Neornithes)에 속합니다. 전통적인 분류는 명확하게 어느 한 쪽에 포함되어야 하기에 중간화석이라 해도 결국 어느 한 쪽에 분류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시조새는 공룡이 아닌 새로 분류됩니다.
사실 이런 것을 악용하는 것이 창조주의자이며, 이런 고전적인 분류를 바탕으로 '시조새는 완벽한 새일 뿐이다.'란 주장을 하며, 저명한 조류학자등의 이름을 거론하며, "***가 시조새를 완전한 새로 분류했다."란 식의 주장을 하는 책략을 씁니다. 정말 '시조새 니들이 고생이 많다.'가 되겠지요.
확실히 시조새는 골격이 코일루로사우리아에 속하는 콤프소그나투스와 닮았고, 실제 헉슬리는 시조새 화석 하나를 콤프소그나투스로 분류하기도 했답니다.
Kingdom Animalia (동물계)
Phylum Chordata (척삭동물문)
Subphylum Vertebrata (척추동물아문)
Class Aves (조강)
Subclass Archaeornithes (고조아강)
Order Archaeopterygiformes (시조새형목)
Family Archaeopterygidae (시조새과)
Genus Archaeopteryx
Species Archaeopteryx lithographica Meyer, 1861
분류를 보면 아시겠지만, 분명히 조강에 포함됩니다. 그리고 현생 조류와는 다른 아강인 고조아강에 포함됩니다. 시조새와 달리 현생 조류는 모두 신조아강(Subclass Neornithes)에 속합니다. 전통적인 분류는 명확하게 어느 한 쪽에 포함되어야 하기에 중간화석이라 해도 결국 어느 한 쪽에 분류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시조새는 공룡이 아닌 새로 분류됩니다.
사실 이런 것을 악용하는 것이 창조주의자이며, 이런 고전적인 분류를 바탕으로 '시조새는 완벽한 새일 뿐이다.'란 주장을 하며, 저명한 조류학자등의 이름을 거론하며, "***가 시조새를 완전한 새로 분류했다."란 식의 주장을 하는 책략을 씁니다. 정말 '시조새 니들이 고생이 많다.'가 되겠지요.
확실히 시조새는 골격이 코일루로사우리아에 속하는 콤프소그나투스와 닮았고, 실제 헉슬리는 시조새 화석 하나를 콤프소그나투스로 분류하기도 했답니다.
# by | 2009/05/29 02:44 | 공룡 이야기 | 트랙백 | 덧글(18)
☞ 내 이글루에 이 글과 관련된 글 쓰기 (트랙백 보내기) [도움말]
전 저런 진화의 과정에서... 수생동물이 뭍으로 나온 것과 깃털이 나게 된 어떤 변이가 어떻게 일어났는지 평소에도 너무나 궁금합니다. (그래서 현 인류의 변이종은 어떨까... 싶은)
사실 우주의 탄생만큼 신비로운 게 또 있을까 싶기도 하지만요.
창조주의자들의 또 움직이고 있군요
분류하는 게 어렵긴 어렵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