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10월 25일
포켓몬의 학명

모든 생물에는 학명이 있습니다. 심지어 둘리도 학명이 있습니다. (Hoihoisaurus glaciensis - 둘리)그렇다면 포켓몬에도 학명이 있을까요? 뭐 알려진 것은 없으나 추정해서 학명을 부여해본다면 이렇습니다. 신기하게도 이 녀석들의 학명은 대부분 tautonym - 반복명입니다.
피카츄 - Pika pika (Pica pica 절대 아님)
라이츄 - Rai rai
이상해씨 - Isang isang
꼬부기 - Cobuk cobuk
구구 - Gugu gugu (다현이가 예전에 실러캔스와 관련해 학명을 알려줬을 때 제가 알려준 비둘기 학명이기도 합니다.)
아쉽게도 생각나는 녀석이 별로 없습니다. 흑... 그리고 피카츄의 학명과피까치 까치의 학명은 혼동하시면 안됩니다. :)
피카츄 - Pika pika (Pica pica 절대 아님)
라이츄 - Rai rai
이상해씨 - Isang isang
꼬부기 - Cobuk cobuk
구구 - Gugu gugu (다현이가 예전에 실러캔스와 관련해 학명을 알려줬을 때 제가 알려준 비둘기 학명이기도 합니다.)
아쉽게도 생각나는 녀석이 별로 없습니다. 흑... 그리고 피카츄의 학명과
# by | 2009/10/25 23:17 | 牛's 개 | 트랙백 | 덧글(23)
☞ 내 이글루에 이 글과 관련된 글 쓰기 (트랙백 보내기) [도움말]
진실이라면 충격에 빠지는 다행이 둘리 글을 참조했습니다.
ps. 아참, 나옹의 학명은 Nan naong idaong (...)
새로운 세상(?)에 눈을 뜬 것 같더군요. 포켓몬들을 보면 애완동물 수준의 지성을 가진 포켓몬들도 있지만 아니 파오리 정도면 사람과 비슷한 정도 지능을 보이는 포켓몬들을 잡아먹는 포켓몬 세계관 사람들의 '식인'의 기준을 알고 싶...하긴 그런 걸로 치면 울산만 가면 돌고래 고기 삶은 걸 먹을 수 있고 (참고래보다는 고기로서 저급이라고 하더군요) 아프리카에서는 오지 주민들이 대형 유인원 한 마리를 잡으면 마을 사람들이 전부 먹을 수 있는 분량의 고기를 얻을 수 있다고 하니까요.
사람들이 '나와 비슷한 지성을 가진 동물'을 먹는다는 것에 거부감을 느낀다는 것은 식인에 대한 공포와도 일부분 이어져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아니 그런데 그들은 포켓몬이 물대포 쏘고 100만 볼트 지지고 회오리바람에 초능력에 난리 부르스를 치는데 어떻게 잡아 먹는 걸까요. 역시 인간은 징해...
(죄송합니다 배고파서 ㅠㅠ)
...인간에게 위협이 되어서 빨리 먹어 없애려는 것 아닐까요?
...그저 뭐든지 멸종시키려면 먹어버리는 게 최고. 정력에 좋은 포케몬 엑기스 썬더파이어~~
(하지만 필요할 때는 자막이 붙던지 나레이션이 대신 이야기해 주므로 별 의미는 없다 보지만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