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11월 06일
여러 가지 층서 단위
지층을 분류하여 선후 관계를 결정하는 학문을 층서학(stratigraphy)이라고 하며, 이런 지층 분류 작업을 층서분류라고 합니다. 층서분류 방법에는 몇 가지가 있으며 이들의 기본 단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지질시대 단위(Geologic Time Unit)
이언(누대) - Eon
대(代) - Era
기(紀) - Period
세(世) - Epoch
절(節) - Age
크론 - Chron
2. 시층서 단위(Geochronostratigraphic Unit)
이언층(누대층) - Eonothem
대층(代層) - Erathem
계(系) - System
통(統) - Series
조(組) - Stage
크로노존 - Chronozone
시층서 단위는 지질시대 동안 퇴적된 동일 시간 면에 의해 지층을 구분하는 단위랍니다. 예를 들어 쥐라기에 쌓인 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쥐라계, 플라이스토세에 쌓인 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플라이스토통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많은 분께서 중생대의 대표적인 '절'을 '세'로 잘못 표기하시고는 합니다. 일반적으로 절(age)과 조(stage)는 크게 구분하지 않고 사용합니다. 즉, Albian이라고 한다면 이는 Albian age와 Albian stage를 모두 가리키는 경우이며, 대개는 '조'의 의미인 Albian stage로 생각하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고유명사로 부여된 세와 통은 팔레오, 에오, 올리고, 마이오, 플라이오, 플라이스토, 홀로세(통) 뿐이며, 다른 기나 계는 '초기, 중기, 후기' 정도로 구분합니다. (최근에는 각각의 기를 고유명으로 부여하는 작업을 하는 것으로 압니다.) 예를 들어 백악기는 '초기, 후기'로 구분되며, 트라이아스기나 쥐라기는 '초기, 중기, 후기'로 구분을 하지요.
그런데 야외에서 실질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단위는 지질시대 단위나 시층서 단위가 아닌 '암층서 단위'라는 것입니다.
3. 암층서 단위(Lithostratigraphic Unit)
누층군 - Supergroup
층군 - Group
층 - Formation
층원 - Member
개층 - Bed
즉, bed가 모이면 member, member가 모이면 formation, formation이 모이면 group, group이 모이면 supergroup이 됩니다. 유명한 누층군으로는 조선누층군이라는 것이 있지요. 아직도 교과서에는 '조선계'라는 이름이 나오지만 이는 일본인에 의해 명명된 적절하지 않은 명칭입니다. 따라서 조선계가 아닌 조선누층군이라 바꿔 부르는 것이 타당하다고 할 수 있지요.
모쪼록 층서에 관심 있으신 분들께 조금이나마 참고되었으면 하네요. (그런데 관심 있으신 분이 계실까? -.-a )
# by | 2007/11/06 17:09 | SCIENTIA | 트랙백 | 덧글(10)
☞ 내 이글루에 이 글과 관련된 글 쓰기 (트랙백 보내기) [도움말]
절과 크론은 실제로 들어본적은 없군요. 세도 좀 짧겠다 하는 느낌이었는데 더 아래가 있었군요.
어쩨서 이언은 영어로 쓰면서 나머지부분은 다 한글(한자)로 바꿔서 부르는걸까요.
그냥 싹 다 영어로 하거나 이언마저도 완벽히 한글화하면 좋을텐데요. 누대란 말은 지구과학 선생님들도 잘 안쓰시더군요. 시험에도 이언이라고나오고...